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양식의 금속공예품. 오직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양식의 금속공예품의 역사, 특징, 사례 등을 파해쳐보자. 한반도 범종(梵M)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양식. 한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랜 종은 서기 725년에 이룩된 강원도 상원시 上院寺) 동종()이고, 가장 큰 종은 높이 3. 64m의 성덕대왕 신종(聖德大王神銃)이다. 한국에서는 신라시대 이래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범종을 상당히 많이 제작하여 한국 안에 현존하는 수도 적지 않고 합법적 비합법적으로 일본으로 간 예도 수십 구(口)에 달하며, 그중에는 일본에서 국보(國寶)로 지정된 것만도 20여구가 된다. 이러한 동종 제작의 성황은 불론 불교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이고, 실제의 제작 수는 현존레의 수십 배가 되리라는 추측은 근래에 지하에서의 출토례가 증가되고 기록.. 2022. 4. 13.
역사적 가치를 지닌 금속공예 장신구의 발견 이번 포스팅에서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 금속공예 장신구의 특징과 그 의의를 살펴보기로 한다. 역사적 가치를 지닌 금속공예 장신구의 발견 장신구(裝身具)의 종류와 전파. 장신구에는 장도(裝刀)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들 가운데서 삼국시대 고분(古墳)에서 발견되는 고대 장신구는 특히 풍부하고 정교하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장신구 가운데는 전세품(傳世品)도 적지 않게 전하여 온다. 앞으로 하나하나에 대한 양식적 특징을 찾아보기로 한다. 관(冠) · 관식은 머리를 장식하는 관이나 이에 부수되는 관식은 삼국시대의제품이 당시의 고분에서 적잖게 발견되었다. 관이 머리를 장식하는 것이니만큼 가장 남의 눈에 띄기 쉬우므로 시대와 민족을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머리에 쓰는 판은 누구나 할 수 없.. 2022. 4. 13.
한반도 금속사 대해 알아보자. 한반도 금속사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인류와 금속의 역사 인류는 수천 년 전부터 금속을 이용하여 그들이 필요로 하는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한국에서도 일찍부터 정교한 금속 제품들을 생산하여 왔다. 기원전 600년 경부터 시작된 청동기 시대의 유물로서 발견된 동모, 제문경 등은 매우 정교한 작품이다. 특히 청동 제작 기술의 발달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더욱 활발해져서 고분 시대가 되면 금, 은, 철 등을 이용하여 각종 도구를 생산하게 된다. 특히 금의 풍부한 사용은 동양 고대국가 가운데서 연구 대상이 되었던 듯하다. 이때에 생산된 물건의 내용에는 장신구와 일상용품 그리고 약간의 무구와 마구가 있다. 특히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발견되는 다량의 부장품 중.. 2022. 4. 6.
코리아의 전통 금속 공예의 발달과 특징을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 금속 공예는 어떻게 발달했으며 그 특징은 무엇일까? 한반도에서는 청동기문화가 전래된 이래 석기 문화에서 벗어나 금속으로 이기와 의기를 만들어 사용하게 되었다. 그 후 문화의 진전을 따라 찰을 알게 되고, 금, 은을 알게 되면서 더욱 광범하게 금 속 제품을 제작 자용하여 이 시기의 유적에서는 이기나 의기 이외에도 농경 구나 장신구 등의 다양한 출토례에 접하게 된다. 불교가 전래된 이후에는 자원에서 사용되는 각종 불구들이 금속으로 제작되었고 고려, 조선으로 내려오면서 이용 범위는 더욱 확대되었다. 이와 같이 금속공예품이 우리 생활에 침투된 시 기는 오랬고 기술의 발달을 따라 정교한 작품을 생 산하였으며 종교를 통한 정신적 배경의 심화로, 또는 문화의 항 상과 권위의 증대에 따른 의기와 장엄구.. 2022.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