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속공예21

분석의 한계와 직관의 강력함 분석의 한계와 직관의 강력함을 여러 가지 예시와 함께 알아보자. 분석의 시작과 끝 그리고 직관과의 차이. 분석은 정태적(靜態的)인 것에서 시작하여 기껏해야 병치 (並置)되어 있는 부동적인 것('immobilité)들을 가지고 운동을 재구성한다. 이에 대해서 “직관은 운동으로부터 출발하여 그것을 실재 그 자체로서 단정하거나 지각하며, 또한 정지 속에서는 우리 정신에 의해 찍힌 스냅사진처럼 단지 추상적인 순간을 본다.” 보통 분석적인 사유는 새로운 것을 이미 존재하는 것에 대한 새로운 배열로써 묘사한다. 아무것도 잃은 것은 없지만 아무것도 새로 만들어진 것도 없다. 그러나 "성장인 지속을 하게 되어 있는 직관은 지속 안에서 전혀 예상 불가능한 새로움의 중단 없는 연속성을 지각한다. 또한 직관은 다음과 같은 .. 2022. 5. 1.
분석적인 사유와 직관적인 사유 분석적인 사유와 직관적인 사유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 분석적 과학 언어의 정의. 인간의 분석적 과학의 언어는 기호를 사용하여 이 정태적이고 연결되지 않은 사물들의 개념을 더욱더 과장하려고 한다. 각각의 새로운 대상은 한 사물을 보는 여러 방식에 필요한 많은 기호들을 사용하는 과학에 의해 기술된다. 베르그송은 각각의 그러한 지각의 내용은 추상된다고, 즉 그 대상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지성은 한 대상에 대한 일련의 개념들을 형성하는바, “편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방향을 따라 실재를 분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우리는 우리의 언어, 다시 말하면 단일 개념들에 의해 사유하기 때문에 우리는 사물들을 한 대상의 주위를 바라보는 여러 방식에 따르는 여러 개념들을 분석하려고 한다. 베르그송에 의하면 .. 2022. 4. 30.
베르구송이 말하는 지식을 소유하게 되는 방법 베르구송이 말하는 지식을 소유하게 되는 방법과 화이트헤드의 연관성. 내부의 시각과 외부의 시각의 차이. 즉 “나의 입장에서 그것을 외부에서 관찰한다면 당신의 말은 한 점을 통과한다. 이어 또 다른 점을 통과하며, 이들 두 점 사이에는 여전히 무수한 다른 점들이 있을 것이다. 내부에서 볼 때 절대란 단순한 것이지만, 외부에서 바라보면, 즉 다른 사물들과의 관계에서 본다면, 절대는 그것을 표현하는 기호에 비하여 언제까지 가도 잔돈으로 다 바꾸어 주지 못할 금괴(金塊)와 같다. 그것은 우리가 소설에서 한 인물을 택할 때와 같은 경우이다. 저자는 인물의 특징을 묘사하고 그에게 행동하게 하고 말을 시키는 데 심혈을 기울인다. 내부의 본질을 인지하는 것의 어려움. “아무리 그렇게 한다 해도 내가 일순간 나 자신을 .. 2022. 4. 29.
철학자 베르구송과 형이상학 철학자 베르구송과 형이상학의 탄생과 역사. 베르구송 앙리 베르구송(Henri Bergson)은 1858년 10월 17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친 바르소비 미카엘 (Varsovie Michael)은 폴란드 인이었고, 모친 카타틴(Katharine)은 영국인이었다. 1859년은 다윈의 [종의 기원(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 of Natural Selection)」의 출판과 존 듀이(John Dewey)의 탄생이 기록되는 해이기도 하다. 학계에서의 베르그송의 성장은 매우 빨랐다. 그는 22세에 앙제르 리세 (Angers Lycée)의 철학 교수가 되었으며, 1900년에는 꼴레쥬 드 프랑스(Collège de France)의 근대 철학 분야의 정교수로 임명되었다. 비상한 .. 2022.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