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공예21 조선시대 동종과 향완의 특질을 알아보자 조선시대 동종과 향완의 특질은 세계사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홍천사 동종(興天寺銅鐘)의 놀라운 작품성. 이 종은 높이 2.82 m 로서 조선시대 작품으로는 대작이다. 종견에는 복련대(伏蓮帶)를 돌리고, 그 밑에 두 줄 횡대(橫帶)가 있다. 종구에서 떨어져 위쪽에는 파도 문이 양각된 문양대(紋樣帶)가 있고 종신 중앙에는 세 줄 횡대(橫帶)가 지나가 상하로 나뉘었다. 상구(上區)에는 종견에서 떨어진 유곽이 있고 그 안에 각각 9유(九乳)가 있으며, 유곽 사이에는 보살 입상(立像) 1구씩이 있다. 하구(下區)에는 장문(長文)의 명문이 있을 뿐이다. 신라에서 고려까지 계속된 한국종의 형식에서 떠난 새로운 양식이 나타나 있다. 제작은 명문에 의하면 세조(世祖) 8년 (1462)이다. 향완은 불.. 2022. 4. 15. 고려시대적 양식을 잘 보여 주는 작품 아직도 고려시대 불상 양식과 특징이 남아 있는 시대적 양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들을 알아보자. 도리사 석종(桃李寺石鐘) 금동 사리기 사리기 안에는 다시 원통을 안치하고, 그 안에 사리 용기 (舍利容器)를 넣었다. 이 원통과 함께 발견된 청동 바리에는 〈洪武二十四年)의 연기(年記)와 조선 태조 이 성계(李成桂)가 시납(施納)한 사유를 기록한 명문(銘文)이 있다. 따라서, 이 일련의 사리기는 조선조 개국 1년 전인 1391년에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이 유물은 강원도 금강산 월출봉(月出峰)에서 발견되었다. 사리기 자체는 은을 두드려서 만든 듯하며, 그 과정에서 문양도 동시에 새긴 듯하다. 도리 사에는 〈世尊舍利塔)이라고 각자 한 석종형 부도(浮屠) 1기가 전한다. 이 사리탑은 조사자의 의견을 따르면 17세.. 2022. 4. 14. 학술적으로도 중요한 우수한 조형적 작품 학술적으로도 중요한 우수한 조형적 작품 중 몇 가지만 간단히 열거하기로 한다. 조선조 불상의 양식이 나타나 있는 작품. 수종사는 경기도 양주군 양수리 (兩水里) 철교에서 서북쪽에 솟은 조곡산(早谷山) 위에 있다. 이 경내에 8각 5층석탑이 서 있다. 석탑에는 조선시대 양식이 나타나 있고, 탑 안에서 발견된 18구의 금동불(金銅佛)과 목조의 불상들 또한 한결같이 조선시대의 불상 양식이 보인다. 이 탑은 1957년 해체되어 초층 탑신석(塔身石), 그 옥개석(屋蓋石), 기단 중대석(中臺石)에 각각 사리공(舍利孔)이 있어 각각 불상이 안치되었고, 탑신석의 사리 공에서는 불상 외에 동제 불감(銅製佛)이 있었다. 여기서 거론하려는 대상은 이 불감이지만, 많은 불상이 발견되었고 그들에는 시대적인 양식이 잘 나타나 있.. 2022. 4. 14. 다방면에서 검토 연구되어야 할 금속공예 작품들 이번 포스팅에서 언급하는 금속공예 작품들은 다방면에서 검토되고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는 귀중한 자료이다. 광주서 5층 석탑(光州西五層石塔) 사리장엄구. 광주 시내에는 상당한 거리를 두고 동서로 2기의 석탑이 있다. 물론 소속 사원(寺院)은 달랐을 것이고, 이 서 5층 석탑이 있는 부근은 성거 사지(聖居寺址)라고 전한다. 이 석탑을 1961 년 해체 수리하였던바 제2층 탑신(塔身) 중앙에 방형 사리 공(方形舍利孔)을 파고 그 안에 전각형 사리기 (殿閣形舍利器)와 동경(銅鏡), 경문(經文), 각종 옥(玉)이 장치되어 있었다. 사리기는 불단형 기단(佛壇形基壇) 위에 난간을 돌리고, 난간 안에 맞도록 방형 탑 신형의 함(函)을 올려놓고 사 모형의 뚜껑을 덮었으며 기단 중앙에 사.. 2022. 4. 14.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