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속공예

역사적 가치를 지닌 금속공예 장신구의 발견

by 뉴갓머니$ 2022. 4. 13.

이번 포스팅에서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 금속공예 장신구의 특징과 그 의의를 살펴보기로 한다.

역사적 가치를 지닌 금속공예 장신구의 발견

역사적 가치를 지닌 금속공예 장신구의 발견

장신구(裝身具)의 종류와 전파.

장신구에는 장도(裝刀)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들 가운데서 삼국시대 고분(古墳)에서 발견되는 고대 장신구는 특히 풍부하고 정교하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장신구 가운데는 전세품(傳世品)도 적지 않게 전하여 온다. 앞으로 하나하나에 대한 양식적 특징을 찾아보기로 한다. 관(冠) · 관식은 머리를 장식하는 관이나 이에 부수되는 관식은 삼국시대의제품이 당시의 고분에서 적잖게 발견되었다. 관이 머리를 장식하는 것이니만큼 가장 남의 눈에 띄기 쉬우므로 시대와 민족을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머리에 쓰는 판은 누구나 할 수 없고 비교적 높은 계급의 사람이 하느니 만큼 금 같은 값이비싼 재료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장식을하게 된다. 삼국시대의 관은 발견례가 숫적으로 많지는 않으나 고구려·백제·신라의 관과 관식이 모두 발견되었다. 먼저 고구려의 유품으로는 평양(平壤) 부근 고분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투각 조화문 금동관(透刻草花文金銅冠)(삽도 1)을 들 수 있다. 머리에 쓰는 가는 데 위에 풀과 꽃 무늬를 투각한 두 개의 금동판을 세워 바티외형을 이루고 앞은 개방되었다. 형식은 간단하고 다소의 손상을 입고 있으나 관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유일한 예이다. 이 관은 평양 부근에서 발견된 이후 일본으로 유출되었다.

고분에서 출토된 관형 장식.

다음에 중화군 진파리(中和郡眞坡里) 고분에서 출토된 금동투각 용봉문 관형 장식 (金銅透刻龍鳳文冠形髮飾)(삼로 2)이 있다. 이 장식은 비행기의 미익(尾翼) 같은 투각 금판(金)을 좌우에서 붙여서 모자 같은 형태를 만들었다. 중앙에는 연주(聯珠)를 돌린 원 속에 태양을 상징하는 삼족오(三足)를, 둘레의 연주와의 사이의 넓은 공간에는 위에 봉황(鳳凰)과 밑에 용두 마리를, 그리고 남은 공간에는 운기문(雲氣文) 같은 무늬를 각각 투각하여 배치하였다. 특히 투각 문양 뒤에는 비단벌레겉날개를 붙여서 문양에 도금된 금색과 함께 영롱한 오색의 의빛을 내고 있다. 비단벌레 겉날개를 투각 문양 바탕에 까는 수법은 신라의 작품에서도 볼 수 있으나 투각 문양의 동적이고 활기에 찬 수법은 고구려 고분 벽화의 수법과 동
일하며 한국의 불교는 서기 372 년 중국으로부터 고구려에 불상(佛像)과 경문(經文)이 전해진 데서 비롯한다. 곧이어 백제에도 역시 중국에서 불교가 전래되었고, 신라에는 고구려 보다 약 1세기 반 늦게 불교를 공인(公認) 하기에 이르렀다. 그후 불교는 고려 시대 까지 거의 천 년에 걸쳐 국민의 정신과 생활을 지배하였고, 그 여운은 현재까지도 이어 오고 있다. 한반도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예술품들은 불교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불교에 대한 탐구 없이 금속 공예 작품을 논한다는 것은 무의미한 시간 낭비것의 나의 의견이다.

불교의 발달과의 상관 관계.

불교가 융성하는 동안에는 많은 사찰(寺刹)이 건립되고 탑(塔)과 불상이 제작되었다. 탑에는 사리(舍利)가 봉안(奉安)되었다. 또한, 불교의식(佛敎儀式)에 필요한 불구가 제작되고, 사찰의 장엄(莊嚴)을 위한 시설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것들은 불교미술의 중요한 일부분을 차지하는 것이고, 또 대부분이을이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금속공예 발달상의 한을 한 측면을 보여 주는 것이다. 그중의 많은 불구들이 현재까지 이어 오는 사찰에서 전래되어 왔으나, 그보다도 더 많은 수의 불구가 사원(寺院)이 이미 폐(廢)하여 지하에 매몰되었다가 그 유지(遺址)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알려진 불구의 종류나 수는 그중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 볼 수 있는 불구들을 통해서도 놀라운 제작 기술을 볼 수 있음을 생각하면 더 우수한 불구가 제작되었으리라는 침을 충분히 추찰 할 수 있고, 이러한 추찬은 기복을 통해서다. 넷반침이 되고 있다. 천 촌레 를 중심으로 불구의 종류를 분류하면 범종(校), 창완(代), 금고(金成), 정성(成), 보(寶代), 당, 경통(極), 영() 등이 된다. 이들 하나하나에 대한 형식과 작풍을 보기로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