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장엄구가 당시의 상태대로 발견되어 세상의 주목을 끈 일화가 있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석탑에서는 동경이 발견되어 주목을 끌었다.
사리 외함(舍利外國)은 금동제 로서 기단(基壇) 위에 방형 함(方形國)을 얹고 위에는 사주형(四注形)의 뚜껑을 씌운 형식이다. 기단 각 면에는 고식(古式)의 안상(眼象) 2 구(區)씩 이 투각되고 함 사면에는 당초문(唐草文)이 투각되었으며, 사방의 기둥에는 구슬을 연꽃으로 싸서 박았다. 뚜껑 추녀에는 영락(路)이 연속해서 여러 줄 달리고 지붕과 낙수면(落水面) 정상에는 역시 연꽃에 싸인 구슬이 장식되었다. 이 외함 속에는 난형(卵形)은제의 이중 사리 합, 장방형 금동 사리합, 은제 사리 항아리, 목판(木板) 인쇄의 다라니경권(陀羅尼經卷) 등을 비롯하여 동제 비천(飛天), 동경(銅鏡), 소형목탑(木塔), 각종 구슬, 향(香), 섬유질(織維質), 묵서(墨書)한 종이들이 들어 있었다. 그중 은제 사리합은 외합 중앙에 설치한 연화좌(蓮花座) 위에 안치되어 있었고, 표면에는 연화문(蓮花文), 꽃무늬, 원점문(圓點文) 등의 무늬를 두들겨서 찍어 내고 몸체 사면과 뚜껑 위에는 구슬을 박았다. 이 사리합 안에는 향목(香木)에 싸여 사리병이 안치되었으나 사리병은 파손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인쇄물.
장방형 금동 사리합 전후면에는 중앙의 3층탑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상(脇侍菩薩像)이, 좌우 측면에는 인왕상(仁王像)이 각각 선각(線刻)되어있다. 표면에는 아직도 도금(渡金)이 많이 남아 있다. 이 사리합 안에는 항목으로 깎고 주칠(朱漆)을 한 작은 사리병이 있었다.전북 남원 발견 사리장엄구 77비천상(飛天像)은 U자형으로 구부리고 하늘을 날고 있는 형상이다. 발과 천의 자락은 위로 뻗었고 두 손은 앞에서 벌리고 있다. 얼굴에서는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어 석탑 건립과 같은 시기에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동경은 반파(半破)되었고 표면에는 장식 문양이 없으나 그 작풍으로 보아 고려 시대 보다는 한 시기 앞서는 작품으로 보인다. 아직까지 통일신라시대의 동경의 발견례가 매우 희귀하고 사리장엄구로서 동경이 발견되는 예는 더욱 드물어서 경주 창림사지(昌林寺址) 3층석탑에서의 출토례가 알려져 있을 뿐이다. 비록 반파되었지만 매우 귀중한 예라고 하겠다. 금속 제품은 아니지만 이 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 중에서 가장 주목을 끈 것은 목판으로 찍은 다라니경 권 (陀羅尼經卷)이었다. 이 경문 글자 중에는 측천무후자(則天武后字)(측천무후는 684~704년간 재위)가 섞여 있어 이 경문의 인쇄 연대 추정에 중요한 근거가 되며 아마도 세계 최고(最古)의 인쇄물이 될 가능성이 짙다는 것의 나의 소견이다.
전북 남원(南原) 발견 사리장엄구
이 사리기 (舍利器)는 출토지 미상이나 남원 부근의 탑에서 발견된 것이라고만 전한다. 아직까지의 사리기 가 방형함(方形國) 또는 전각형(殿閣形)의 형태가 통례로 되어 있으나, 이 사리기는 전각형 방형함이면서도 특수한 의장(意匠)이 가미되어있다. 사리 외함 (舍利)밑에는 불상의 연화좌(蓮花座) 같은 받침이 있어 8각으로 구성하여 상하 2단으로 단판(單瓣) 연꽃이 조각되었는데 그 양식이 그 이고식(古式)을 띠고 있다. 이 위에 활짝 핀 앙련(仰蓮)이 있어 사리 외함을 받치고 있는데, 바닥 주변에는 이중으로 꽃술 같은 것이 찍혀 있다. 방형 사리 외함 사면에는 연화대(蓮花臺) 위에 가부좌(柳洪坐)한 여래상(如來像)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당초문(唐草文)을 투각(透刻)하였는데, 그 수법이 불국사 석가탑의 사리 외함에 투각된 당초문과 유사하다. 기둥에는 연주문(聯珠文)을 안에서 찍어낸 점은 기둥을 보강하려는 목적도 있었던 듯하다. 뚜껑은 사모집 형식이고 사방에 세 개씩의 앙련형(仰蓮形)이 남아 있어 이것은 아마도 불국사 석가탑 사리 외함에서와 같이 구슬을 박았던 듯하나 지금은 남은 것이 없다. 정상에는 큰 앙련을 붙이고 그 중심에서 위로 솟은 찰주(擦柱)에 이중의 보개(寶蓋)가 얹혀 있다. 또 외함을 받치고 있는 앙련에서 사방으로 줄기가 뻗어 연꽃 한 송이씩이 있고, 그 위에 사천왕상(四天王像)으로 보이는 신장(神將) 1구씩이 안치되었다.
'금속공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방면에서 검토 연구되어야 할 금속공예 작품들 (0) | 2022.04.14 |
---|---|
한반도 금속 공예 기술의 걸작 (0) | 2022.04.14 |
한국 공예술의 발달상 고찰 (0) | 2022.04.13 |
불력의 힘으로 외침을 막으려 했던 석탑 (0) | 2022.04.13 |
한반도 3대 동종 향완 사리 (0) | 2022.04.13 |
댓글